안녕하세요 스타트업 빌더 포켓컴퍼니입니다.
지원사업은 초기 스타트업들의 핵심 동력인만큼, 대표님들의 관심이 많죠. 그렇기 매년 경쟁이 치열해지고 심사 기준도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어요 :(
그럼에도 초창패에 선정되는 팀들은 어떤 전략이 있을까요?
오늘은 초창패에서 심사역분들이 어떤 내용을 위주로 심사를 하게 되고 심사위원에게 어필할 포인트가 무엇인지 알게 될 거예요!
초기창업패키지는 아이디어가 아닌, 시장에서 검증된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인데요. 그렇기에 아이디어 및 창업 아이템 소개 보단 실제 고객의 필요성과 매출 가능성을 증명해야 해요.
심사위원들은 시장 데이터를 통해 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판단을 하니,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고객 반응이 없다면 의미가 없겠죠?
초창패 심사위원들은 아래의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보며 선정 평가를 진행하게 돼요!
📌 심사위원들이 집중적으로 보는 요소
시장 검증 데이터: 고객이 실제로 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가?
매출 또는 유저 확보 현황: 이미 고객이 사용하고 있거나, 돈을 내고 있는가?
경쟁력 & 차별성: 기존 시장에서 얼마나 차별화될 수 있는가?
🎯 시장 검증을 증명하는 방법
초반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고, 고객 반응을 확보하세요.
MVP(시제품) 운영 데이터를 제시하세요.
소규모라도 실제 매출 기록이 있다면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어요.
초기 단계의 지원사업은 단순히 현재 좋은 성과를 내는 스타트업이 아니라, 앞으로 얼마나 더 성장할 수 있는지(Scale-up 가능성)를 중요하게 평가해요.
심사위원들은 이 팀이 1~2년 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를 보면서
투자 관점으로 심사하죠. 그래서 사업의 확장성, 투자 유치 가능성, 시장 점유율 확대 계획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돼요.
📌 심사위원들이 보는 핵심 요소
사업 확장 가능성: 현재 시장에서 더 큰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는가?
투자 유치 가능성: VC(벤처캐피털)나 엔젤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가?
수익 모델의 지속 가능성: 1~2년 뒤에도 지속적으로 매출을 낼 수 있는가?
🎯 성장 가능성을 증명하는 방법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시장 규모 분석을 제시하세요.
초기 성과(매출, 고객 수, 파트너십 등)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증명하세요.
앞으로 1~2년 동안 비즈니스 확장 전략을 명확히 보여주세요.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후 3년 이내 기업인, 이미 사업을 운영 중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이에요. 신청 전, 내 사업이 지원 대상에 적합한지 먼저 체크해보세요!
📌 해당되는 경우
✅ 사업자등록 후 3년 이내(2022년 1월 1일 이후 창업)
✅ 기술기반 창업(IT, 바이오, 제조, 플랫폼 등)
📌 해당되지 않는 경우
- 사업자등록 후 3년이 지난 기업
- 단순 유통, 음식점, 프랜차이즈 창업 등 기술 기반이 아닌 사업
- 정부 지원사업을 이미 받아서 중복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
아래의 세 항목을 확실하게 준비하세요!
✔️ 시장 검증 데이터를 확보하세요.
MVP(최소기능제품) 테스트 결과 및 사용자 반응
고객 인터뷰 & 설문조사 데이터
시장 리서치 자료 및 경쟁사 분석
✔️ 비즈니스 확장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세요.
핵심 타겟 고객과 시장 진입 전략
수익 모델 및 성장 로드맵(단계별 목표 설정)
투자 유치 또는 정부 지원금 활용 계획
✔️ 팀의 성장 가능성을 강력하게 어필하세요.
창업자의 전문성과 팀원의 강점
핵심 기술/특허 및 차별화 포인트
멘토, 자문단, 네트워크 활용 계획
📌 이 글의 핵심 정리
✅ 2025 초기창업패키지는 아이디어보다 ‘시장 검증’이 핵심!
✅ 심사위원들은 ‘스케일업 가능성’이 높은 팀을 찾고 있어요.
✅ MVP, 고객 데이터, 매출 지표 등 실질적인 증거를 준비해야 해요.
✅ 명확한 성장 전략과 투자 유치 가능성을 강조하세요.
지금까지 초창패 관련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알려드린 내용을 지나치지 마시고, 꼭 참고하셔서 신청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트렌디한 소식을 발송해드릴게요 💌